2011년 7월 5일 화요일

[Tip] X-code 환결설정 : 보다 빠른 개발을 위한

그동안 파일을 찾고, 콘솔을 찾고 너무 귀찮은 과정이었을 것이다.

또한 빌드결과를 확인하는 과정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과연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겠는가?

물론 있다. 다만 따로 설정을 해야한다.

설정하기 전에, 모든 X-code 파일을 닫기 바란다. 


1. 상위의 X-code 버튼을 누른 후에, Preference를 누른다.

  


2. Preference를 누르면, 바로 General 탭이 열려있을 것이다.
   
    거기서 바로 'Layout'이 보이는가? default로 활성화 되있는 것을 'All-In-One'으로 바꾸자

  .


3. 자, 다시 X-code Project를 열게되면, 좌측상위와 가운데 상위에 새로운 것들이 생긴 것이 보일 것이다.
 

 
4. 왼쪽부터 보자. Project 버튼과 Debug 버튼이 보인다. 

    Project는 우리가 지금까지 작업한 창이고, 그동안 Console을 일일이 누를 필요없이 이 Debug 버튼을 누르면 된다.

    


5. 각각의 버튼에 대한 설명은 이렇다.

    

    Detail : 모든 파일을 볼 수 있다. Class나 Resource를 열기 귀찮다면, 이 곳을 통해 바로 클릭하자.

    Project Find : 프로젝트 내의 함수, 메소드 등 입력한 키워드가 어디에 있는지 모두 보여주고, 또 교체도 할 수 있다.

    SCM Results : Source Code Management의 약자로, 공동으로 개발할 경우에 사용되므로 지금 사용할 일은 없다.

    Build Results : Error나 Warning을 확인할 수 있다. Debug시 유용하게 쓰인다.


중요한 부분은 아니니, 각각의 기능이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야 할 이유도 의미도 없다.

All-In-One 설정을 함으로써 얻는 것은 Console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것과 Build Result를 메세지와 함께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2가지가 중요한 이유는 여러분이 개발을 하다가 앱이 죽거나 Error·Warning이 났을 경우 봐야할 것이 이 2가지이기 때문이다.

Console에 관한 내용은 다음 장에서 알아보도록 하고

Build Results는 Error나 Warning의 메시지가 친절하게 나오므로, 바로 위를 보면서 잘못된 부분을 바로 잡으면 된다.

이상으로 X-code 환경설정에 관한 부분을 마치도록 하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