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7월 5일 화요일

[Spring] 스프링 게시판 만들기

앞서 내용을 보면서 설치가 다 끝났으리라 생각됩니다.

자, 이제 실행시켜 봅시다.


Loading이 되면서 toolSuite가 동작이 될 겁니다.


먼저, 게시판을 만들거니까 간단하게 Dynamic Web Project 하나 Click 해주세요.



물론 서버는 설치해 놓으셨겠죠?



그렇게 만든 다음에는 이제 본격적인 Spring 설정을 해둬야겠죠?

다시 New에서 Spring Bean Configuration File을 Click 해줍시다.



먼저, applicationContext.xml이라는 이름으로 생성해줄겁니다.


(이때, Finish를 누르시면 설정하는 화면이 나오지 않습니다. Next를 눌러주세요)

여기서 beans는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구요. 이제 추가로 설정할 것은 선택해주어야 합니다.

먼저 Context를 눌러줍니다. 그리고 밑에 3.0을 선택합니다. 우리는 3.0을 가지고 놀거니까요.

이런 식으로, mvc · tx · task를 선택해줍니다.



잘 보면 http://www 맨 끝에 우리가 선택한 context · mvc · tx · task가 보일겁니다.

여기서 설정을 2줄만 해주면 됩니다.

<context:annotation-config></context:annotation-config>
<context:component-scan base-package="org.thinker.*"></context:component-scan>

여기서 base-package에는 여러분이 임의대로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component-scan'이라고 쓰여있는 걸 보니, 벌써 느낌이 오시죠?



이 applicationContext.xml은 src 밑에 두어야 합니다.

그런데 일반적인 Project Explorer로는 할 수가 없구요. Navigator를 통해야만 합니다.

Window - ShowView - Navigator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Navigator에서 복사하면, src 밑에 applicationContext이 잘 붙게 됩니다.



이번에는 dispatcher-servlet.xml을 만들겁니다.



이번에는 context만 선택해주면 됩니다.



dispatcher-servlet.xml의 위치는 WEB-INF 밑에 위치해야 합니다.



이제 web.xml을 설정해줘야 합니다.


위의 이미지는 바로 이 코드입니다.

 <listener>
    <listener-class>org.springframework.web.context.ContextLoaderListener</listener-class>
 </listener>
 <context-param>
    <param-name>contextConfigLocation</param-name>
    <param-value>classpath:applicationContext.xml</param-value>
 </context-param>
 <servlet>
    <servlet-name>dispatcher</servlet-name>
    <servlet-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servlet-class>
    <load-on-startup>1</load-on-startup>
 </servlet>
 <servlet-mapping>
    <servlet-name>dispatcher</servlet-name>
    <url-pattern>*.do</url-pattern>
 </servlet-mapping>

이 부분을 추가해주면 됩니다.


이제 Library를 추가해봅시다.

아까 설치할 때 받았던 zip 파일을 해제하고, lib 안에 있는 파일을 모두 추가해줍시다.

또한 commons-logging.jar도 추가해줍시다.


그 다음에는 이제 package와 class를 만들어주면 되는데요.

package는 우리가 아까 설정해둔 이름이 앞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기존에 web.xml에 ServletMapping을 길게 설정해야했던 것을

Spring에서는 이렇게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Controller 라고 걸어주어야, @RequestMapping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제 실제로 출력되는지 확인해봐야겠죠? (http://localhost:8080/SpringExample/project/add.do)

이렇게 SpringExample/project/add.do

한마디로 '프로젝트이름/클래스/메소드.do'라고 하면 됩니다.



잘 출력이 되고 있습니다.



잘 따라오셨는지요?

일단은 이해를 돕기 위해, WAR 파일을 첨부해두었습니다.


너무 사용법 위주의 설명이라 죄송합니다.

이론과 원리에 바탕한 기초를 설명해야 하는데, 아직 제가 Spring에 대한 이해가 높지 않습니다.

저도 다시 공부를 한 후에, 원리를 제대로 설명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외에도 Spring은 많은 기능을 담고 있습니다.

제가 공부하는대로 하나씩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